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알제리] 주간 경제동향 ('25.01.26-02.01.)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12
조회수
58

(정보제공 : 주알제리대사관)



알제리 주간 경제 동향 ('25.01.26.-02.01.)



가. 아르캅 에너지·광물·신재생에너지부 장관 활동 관련


  ㅇ 아르캅(Mohamed Arkab) 에너지·광물·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은 1.27(월) 탄자니아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에너지 정상 회담에 참석하여 2030년까지 아프리카 대륙의 3억명에 전기를 공급하는 미션300 이니셔티브를 높이 평가하였고, 알제리의 아프리카 및 국제 에너지 통합 강화를 위한 노력을 강조하며 아래와 같이 언급함.


     - 알제리-아프리카 국가 간 전력 상호 연결은 매우 중요하며 알제리가 유럽과의 전력망 연결 및 사하라 횡단 송유관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와 유럽 간 에너지 교류를 강화 예정


     - 알제리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 에너지와 수소 사용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15,000MW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구축할 계획


  ㅇ 아르캅 장관은 1.30(목) Roman Marshavin 러시아 에너지부 차관을 만나 양국 에너지, 광업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 협력 관계를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특히 △석유·가스, 광물 자원 개발 분야, △태양광, 풍력, 열에너지 분야, △의료용 방사성 의약품 생산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동의함.


나. 알제리-독일 자동차 협력 관련


  ㅇ 독일 자동차 대기업 Volkswagen社 대표단은 2월 알제리를 방문하여 현지 생산 가능성과 알제리 시장 재진입 가능성을 조사할 예정이며 자동차 산업 개발을 위한 개혁에 대해 알제리 정부와 논의할 예정임.


     - Volkswagen社는 2021년에 알제리 시장에서 철수했다고 발표했으며, 당시 파트너였던 Sovac 그룹과의 관계를 끊었으며, 이후 알제리 정부는 2020년 자동차 조립을 위한 SKD/CKD 키트 수입 우대 제도를 폐지


     - 이외 활동을 재개한 수입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탈리아의 Fiat로, 2023년 12월부터 오랑(Orang)에서 차량 생산 공장을 가동 중


다. 알제리-이탈리아 장비 제조 협력 관련


  ㅇ 이탈리아의 수압 시스템 및 장비 제조업체 Idrobase 그룹은 중국 생산 시설 일부를 알제리로 이전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를 통해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활동을 확장하고 지역 시장으로의 수출 플랫폼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힘.


     - Idrobase 그룹은 2025년까지 알제리를 아프리카 주요 전략적 거점으로 만들 계획이며 이는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빈곤을 줄이며 불법 이민 억제를 목표하는 이탈리아 정부의 Mattei 계획과도 일치


     - Idrobase 그룹은 알제리에서 현지 업체들과 협력하여 이탈리아에서 수입된 부품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생산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아프리카 시장에 맞춘 고품질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예정


     - 동 프로젝트는 알제리-이탈리아 경제 교류를 강화하고 알제리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