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에스토니아] 주간 경제동향('25.02.03.-09.)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13
조회수
55

(정보제공 : 주에스토니아대사관)



에스토니아 주간 경제동향('25.02.03.-09.)


가. 주재국 러시아로부터 송전시스템 독립


   ㅇ 발트 3국은 역내 송전망을 2.8(토) 오전 러시아 통제 송전망(IPS/UPS)으로부터 차단하고, 2.9(일) 오후 유럽 26개국이 사용하는 CESA(Continental European Synchronous Area) 송전망과 성공적으로 연결함.


     - 기존 송전망 단절후 새로운 송전시스템과 연결에 앞서 외부와 단절된 상황에서 주파수 및 전압 안정성, 장애 대응 테스트를 진행한바, 동 기간 전력수요는 역내 발전, 에스토니아-핀란드 및 리투아니아-스웨덴간 연결 전력망 통해 충당   


   ㅇ BRELL협정*에 따라 러시아가 관리하던 송전시스템은 에너지 관련 발트 3국과 러시아와 마지막 연결고리였으나, 향후 발트 3국이 금번 비동기화로 독립적인 전력 주파수 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에너지안보가 강화됨.


     ※ 2001년 러시아, 벨라루스, 발트 3국간 전력망 협력을 위해 체결된 협정으로 2025.2.7. 23시 59분부로 종료


     - Michal 총리는 유럽과의 전력망 동기화는 현재의 지정학적 맥락에서 역사적인 사건으로 에너지안보 강화와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큰 주파수 구역 가입을 통해 주재국 전력생산기업의 전기판매 기회가 확대되었다고 평가


     - Tsahkna 외교장관은 침략자인 러시아가 발트 3국에 대해 에너지를 무기화할수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평가


나. 3월 탈린시내 수소연료택시 운행 개시


   ㅇ 2021년 정부로부터 500만 유로의 지원금을 받아 시작된 시범사업으로 수소연료 택시(30대)가 3월에 탈린에서 운행될 예정이라고 언론 보도됨.


     - 주재국내 운행중인 공유차량업체 Bolt사가 수소연료 전지차량(FCV)인 토요타의 미라이(Mirai) 30대를 운행 예정으로, 차량 운행비용은 100km당 10유로 정도로 가솔린 차량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


     - 주재국 재생에너지 및 지역난방회사인 Utilitas는 3월 충전소 2개를 개설할 예정으로, 연간 120만톤 생산 용량을 가진 전해조(electrolyzer) 설치되어 작년 12월에 첫 수소를 생산


   ㅇ 아울러, 주재국은 추가적인 수소 생산시설 및 충전소 건설과 수소버스와 트레일러 도입 사업 등도 함께 진행중임.


다. 2024년 주재국 상품무역수지 통계 발표


   ㅇ 주재국 통계청은 2024년 수출이 174억 유로, 수입이 207억 유로로 전년 대비 수출이 4%, 수입이 2% 감소하였으며, 무역 적자는 전년보다 272백만 유로가 증가한 33억 유로를 기록하였다고 발표함.


     - 수출품의 품목별 비중은 전기장비가 15%, 농산물 및 식품 12%, 목재 및 가공품 11% 순으로 많이 수출되었으며, 주 수출대상국은 전체 수출액에서 핀란드 16%, 라트비아 11%, 스웨덴 9%를 차지


     - 수입품은 전체 수입액에서 운송장비 14%, 전기장비 13%, 농산물 및 식품 13%이며, 주 수입국은 전체 수입액에서 핀란드 13%, 독일 12%, 라트비아 11%, 리투아니아 11%를 차지.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